염원하는 평화 통일 소리

통일부 9

[신평통일신문] “탈북민의 새 출발을 응원하는 따뜻한 마음 감사의 뜻 전해”

- 하나원, 북한이탈주민 대상 기부 감사 행사 개최 통일부는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기부 문화와 정착지원을 활성화하기 위한 목적으로, 양한종 기부자의 북한이탈주민(하나원 교육 수료생)에 대한 기부 감사 행사를 4월 2일 하나원 안성 본원에서 개최했다. 본 행사에는 김영호 통일부장관, 양한종 기부자, 사회복지공동모금회(이하 사랑의열매) 김병준 회장 및 김재록 서울지회장, 하나원장, 하나원 교육생 등이 참석한 가운데 개최되었다. 양한종 기부자는 해방 직후 북으로 건너간 아버지와 큰형으로 인해 온갖 고초를 겪으면서도 자수성가하신 분으로, “적은 돈이지만, 북에서 내려온 이웃들이 우리 사회에 잘 정착했으면 하는 마음으로 기부를 결심했다”고 했다.홀로 남으신 어머니와 6남매를 건사하는 가장 역할을 하면서도 자동차학원..

카테고리 없음 2025.04.05

[신평화통일신문] 청소년 방과 후 아카데미 … “통일의 꿈, 함께 만들어가요!”

- 한반도통일미래센터, 총 5개 기관, 200여 명 청소년 대상 겨울방학 특별 프로그램 진행 통일부 국립통일교육원 한반도통일미래센터(이하 ‘미래센터’)는 방과 후 아카데미 청소년을 대상으로 2월 18일부터 28일까지 겨울방학 특별 통일체험연수를 진행한다. 전국 초등 청소년방과후 아카데미(254개)를 대상으로 수요조사를 실시해 선정된 △‘누리나래’(대구) △‘문경시’(경북) △‘정왕‧배곧’(경기) △‘마천’(서울) △‘안산아띠’(경기) 등 5개 기관, 200여 명이 연수에 참여할 예정이다.  이번 연수는 5개 기관에서 각 30~60명의 학생들이 참여하는 가운데, 기관별로 1박 2일 동안 운영된다.  연수 프로그램은 △통일로 가는 길(그림 퍼즐을 이용한 통일 염원) △통일미래체험(KTX-통일호를 타고 미래로..

카테고리 없음 2025.02.18

[신평화통일신문] 탈북 청소년 스포츠 교육활동, 탈북민 대상 건강 및 체력검진 프로그램 지원

- 통일부–국민체육진흥공단, 스포츠를 통한 탈북민 건강증진 및 자립지원 위해 업무협약 체결 김영호 통일부 장관과 하형주 서울올림픽기념국민체육진흥공단(이하 “국민체육진흥공단”) 이사장은 2월 17일(월) 정부서울청사에서 북한이탈주민의 건강증진과 자립지원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고 밝혔다.  통일부와 국민체육진흥공단은 이번 업무협약을 통해 스포츠를 매개로 북한이탈주민이 우리 사회에 안정적으로 정착하고 건강한 탈북민 공동체를 형성해 나갈 수 있도록 지원할 예정이다.  김 장관은 스포츠를 통해 도전정신을 배우고 협동심을 키우며 함께 땀 흘리는 과정에서 공동체 의식을 배양할 수 있다면서, 탈북민이 사회 적응의 어려움을 극복하고 안정적 정착을 하는 데 있어 스포츠 프로그램이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고 ..

카테고리 없음 2025.02.17

[신평화통일신문] 통일부 장관, 설 명절 계기 ‧ 탈북민 무연고청소년 격려 방문

- 탈북민 청소년들과 함께 소통하며, 용기와 희망을 심어줘   김영호 통일부 장관은 설 명절을 맞이하여 1월 24일 탈북민 무연고 청소년이 거주하고 있는 그룹홈 「가족」(서울 성북구 소재)을 방문하여 청소년들과 소통하며 격려하는 시간을 가졌다.이번 방문은 설 명절을 맞아 탈북민 무연고청소년들을 격려하고, 실질적인 지원을 위한 현장의 목소리를 듣기 위해 마련됐다. 자리에 함께한 청소년들은 따뜻하고 편안한 분위기 속에서 자신의 고민과 어려움, 앞으로의 꿈과 목표에 대한 이야기를 나누었다. 김 장관은 “낯선 환경속에서도 자신의 꿈을 향해 한걸음씩 나아가는 모습이 감동적이며, 여러분이 우리 사회에서 당당하게 자리 잡을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관심을 가지고 지원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통일부는 지난해 무연고청소..

카테고리 없음 2025.01.25

[신평화통일신문] 이산가족의 염원을 담아 … “다시 만날 그날까지 ‘기억’, ‘위로’, ‘공감’, ‘동행’ 함께!

- 통일부·서울시 「제2회 이산가족의 날」 기념행사 개최 통일부는 서울시와 함께 이산의 아픔을 위로하고 이산가족 문제 해결에 대한 국민적 공감대를 확산하기 위하여 「제2회 이산가족의 날」 기념식을 9월 15일 10시 30분 KBS 아트홀에서 개최했다. 올해 2회째를 맞는 이산가족의 날(9월 15일, 음력 8월 13일) 기념식은 이산가족들과 관련 단체, 국회의장 및 국회의원, 정부 관계자 등 32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사전행사·본 행사·오찬행사로 진행되었다. 이번 기념식은 “다시 만날 그날까지 함께 가겠습니다.”라는 슬로건 아래 ‘기억’, ‘위로’, ‘공감’, ‘동행’이라는 주제로, 이산가족 1세대부터 3세대까지 함께 할 수 있도록 프로그램을 구성했다. 행사 시작 전 참석자들이 추석을 맞아 선조들을 ‘기..

카테고리 없음 2024.09.20

[신평화통일신문] ”북한은 억류자 즉각 무조건 송환하라“ 한/미/캐나다 한 날, 한 목소리

- 우리 국민의 자의적 구금 규탄 및 송환 촉구 · 김정욱 선교사 억류 4000일 계기, - 통일부와 미 국무부, 억류자 송환 촉구 관련 최초로 동시간대 성명 발표 - 캐나다 외교부도 같은 시간에 북 억류 김정욱·김국기·최춘길 선교사 석방 촉구 - 세계기독교연대(CSW), 전환기정의워킹그룹(TJWG) 등 국내외 NGO의 송환 촉구 성명도 잇달아   9월 20일, 김영호 통일부 장관은 우리 국민 김정욱 선교사가 김정은 정권에 의해 강제 억류 · 구금된 지 4,000일이 되는 날을 계기로, 장관 명의로는 최초로 우리 억류자에 대한 북한 당국의 자의적 구금을 규탄하고 송환을 촉구하는 성명을 발표했다.미국 국무부와 캐나다 외교부도 같은 시간 한 목소리로 북한의 불법적 억류 · 구금 행위를 강하게 규탄하고, 억류..

카테고리 없음 2024.09.20

[신평화통일신문] <8.15 통일 독트린> 구현을 위한 국제사회 연대의 장 마련

- 「2024 국제한반도포럼(GKF)」 창설....한·미·일·유럽 등 주요 인사 참여  통일부는 9월 3일(화), ‘자유․평화․번영의 통일 한반도(Unified Korean Peninsula for Freedom, Peace, and Prosperity)’를 주제로「2024 국제한반도포럼(Global Korea Forum, 이하 ‘GKF’)」을 개최했다. 이날 포럼은 통일 독트린>에 따라, 통일 대한민국 비전의 국제적 확산과 연대를 위해 2010년부터 통일부가 연례적으로 개최해 온 1.5트랙 국제회의인 ‘한반도국제포럼’을 확대 ․ 발전시킨 창설회의로서, GKF의 창설을 통해 자유 통일에 대한 국제사회의 지지를 적극적으로 견인래 나간다.  이번 포럼에는 반기문 前유엔사무총장의 기조연설, 현인택 前 통일부 ..

카테고리 없음 2024.09.05

[신평화통일신문] 정부 출판물 최초 아시아 3대 디자인 어워드 수상 · 「명부, 6·25전쟁납북자 이름책」

- 70년 넘는 세월 동안 치유되지 않은 상흔 … 잊혀지지 않을 권리-「명부, 6·25전쟁 납북자 이름책」, ‘K-디자인 어워드 2024’ ‘위너’상 수상 통일부는 지난해 11월 국립6.25전쟁납북자기념관이 제작·발간한 「명부, 6·25 전쟁납북자 이름책」을 ‘K-디자인 어워드 2024’에 출품(5.29)하여, 정부 출판물로서는 최초로 ‘위너’를 수상(7.30)하였다, 고 8월 6일 밝혔다. ‘K-디자인 어워드’는 홍콩의 ‘디자인 포 아시아 어워드’ 및 대만의 ‘골든핀 디자인 어워드’와 함께 아시아의 3대 디자인 어워드로 인정받는 국제대회다. 국제적 공신력을 자랑하는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디자인 공모전으로 지난 12년 동안 전 세계 디자이너와 회사 및 디자인 기관 등을 대상으로 진행되어 왔으며, 나이키 C..

카테고리 없음 2024.08.06

[신평화통일신문] 통일부, 국회에 북한인권재단 이사 추천 요청

- 북한인권 실태조사와 북한인권 증진 관련 연구 정책개발 등을 수행 통일부는 7월 31일 제22대 국회에 북한인권법 에 따른 북한인권재단 이사와 북한인권증진자문위원회 위원의 추천을 요청하는 공문을 발송하였다, 고 8월1일 밝혔다. 북한인권재단(이하 재단)은 2016년 9월 시행된 북한인권법 제10조에 따라 북한인권 실태조사와 북한인권 증진 관련 연구 정책개발 등을 수행하기 위해 설립될 예정이었으나, 법 제12조에 따른 국회의 이사 추천이 이루어지지 않아 8년째 출범하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또한 북한인권증진자문위원회(이하 자문위)는 법 제5조에 따라 북한인권 증진 관련 정책에 관한 자문을 수행하도록 되어 있으나, 제1기 자문위 임기(’17.1.24.~’19.1.23.)가 만료되었음에도 법 제5조제2항..

카테고리 없음 2024.08.03